캠프 캐롤 고엽제 매립 의혹 관련 한미 공동조사
정명웅
| 2011-12-30 11:06:36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한미 공동조사단은 12월 29일 캠프 캐롤의 고엽제 매립 의혹 관련 조사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5월 스티브 하우스 씨에 의해 고엽제 매립 의혹이 제기 된 이후, 한·미 양국은 그 주장을 조사하기 위해 공동조사단을 구성했다. 본 조사에서는 관련 자료 검토와 함께 토양 및 수질 조사를 실시했다.
매립 의혹지역에 대한 지구물리탐사 및 토양 시추조사 결과, 드럼통 매립 징후는 발견하지 못했고 과거 근무자 172명에 대한 인터뷰 및 32개 기관에 대한 기록조사 과정에서 D구역에 매립돼 있던 고엽제가 아닌 살충제, 제초제, 솔벤트, 기타 화학물질 등이 굴착돼 미 본토로 수송됐다는 증언을 확보했다.
토양과 지하수에 대한 고엽제 관련 성분 분석 결과, 기지 내부 41구역 지하수 관측정 1개소에서 2,4,5-T가 극미량 검출됐다.) 조사 결과 검증을 위해 수질 재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한·미 양측 모두에서 2,4,5-T는 검출되지 않았다. 41구역에 대한 토양조사에서도 2,4,5-T는 검출되지 않았다.
기지 내부 토양 조사 결과, D구역 2개 지점에서 2,3,7,8-TCDD가 미량 검출됐다. 그러나 검출된 2,3,7,8-TCDD는 일반 상업용 제초제(2,4,5-T)나 고엽제, 다른 화학물질(펜타클로로페놀) 등에서 모두 유래될 수 있어 미량 검출만으로 고엽제와의 관련성을 단정할 수 없다.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68년 380드럼의 고엽제가 한국으로 수송돼 한국 육군에 의해 DMZ에서만 사용됐다. 지난 5월 이후, 공동조사단은 1978년에 캠프 캐롤에 고엽제가 매립되었다는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실시했다. 모든 자료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과거 캠프 캐롤에 고엽제가 매립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어떠한 확실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고엽제와 관련된 건강위해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 정부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난 8월 31일부터 시작된 건강영향조사를 차질 없이 완료할 것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