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6개 상습 침수도시 선정해 하수도정비

이재혁

| 2012-03-27 10:32:19

상습 침수도시, 대용량 하수관․하수저류시설로 침수 예방 환경부

시사투데이 이재혁 기자] 환경부는 전국 침수피해 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상습 침수피해를 받고 있는 6개 도시를 선정하고 도시침수 예방을 위한 하수도정비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시범도시는 부천시, 천안시, 안동시, 김해시, 서천군, 보성군으로 지역 대표성과 하수관 유형이 고려됐다.

천안시의 경우 내린 빗물이 하수관으로 제 때 유입되지 못하는 노면침수의 대표적인 예로서 빗물의 하수관 유입에 중점을 두고 설계가 이뤄진다. 안동시는 오수(汚水)와 우수(雨水)가 함께 흐르는 합류식(合流式) 하수관을 오수관(汚水管)과 우수관(雨水管)으로 나누어진 분류식(分流式) 하수관으로 교체하는 사업을 동시에 진행하며 빗물 피해뿐만 아니라 하천오염 예방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서천군은 농경지 주변에 읍내가 형성돼 읍내 전체가 침수에 취약함에도 예산 문제로 그 동안 하수관 설치가 지연됐던 지역으로서 높은 사업효과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집중호우 시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 필요한 하수관, 하수저류시설, 빗물펌프장에 중점을 두고 각 시설을 지역 여건에 맞게 적절히 배치할 예정이다.

최근의 도시 침수피해는 대부분 집중호우 시 과다하게 발생하는 강우 유출수를 하수관이 제대로 배출시키지 못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기존 하수관으로는 빗물 배수가 곤란한 경우가 많은 평탄지역이나 저지대의 경우에는 지하 터널형 대용량 하수관을 만들어 빗물을 인접 지역으로 신속히 빼내는 방식을 검토한다.

또한 도심에서는 하수저류시설을 설치할 만한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로나 학교 운동장 밑에 지하 저류시설을 만들어 집중호우 시 빗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시설이 설치된다. 빗물펌프장은 보통 하천 주변에 설치되나,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빗물이 제대로 흐르지 않는 하수관 중간에 소규모 압송펌프장을 설치한다. 시설 설치 외에도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6개 지역 시범사업을 하수도정비의 모델로 삼아 하수관 확충과 저류시설 설치를 통한 도시침수 예방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부 담당자는 “이 시범사업이 마무리되면 이들 상습피해지역은 30년 내지 50년 빈도의 집중호우에도 침수피해를 입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