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도로 다이어트로 보행환경 개선 나서
전해원
| 2013-04-25 09:06:36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보행량이 많은 재래시장, 상업 지역, 터미널 주변 등에 차도를 줄이는 ‘도로 다이어트’를 통한 보행자 전용길과 광장을, 학교 주변에 S자형 도로를 설치해 차량의 속도를 낮추고 재래시장 등에 불법주정차 단속장비가 설치되는 등 걷기 좋은 길이 만들어진다.
안전행정부는 올해 보행자의 안전성‧이동성‧쾌적성에 중점을 둔 ‘보행 환경 개선 지구’ 10개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난해 전국을 대상으로 공모를 받아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보행사업 선정위원회에서 현지 실사, 보행․교통량, 사고 현황 등을 분석해 10개 지구를 선정했다. 어린이 통학로 보행환경 개선(서울 성북), 이태원 외국인 관광지구 보행환경 개선(서울 용산), 경북대학 주변 대학로 보행환경 개선(대구 북구), 아파트 주변 안전 보행환경 개선(충북 청주), 터미널 연계 재래시장 보행환경 개선(경북 영천) 등이다.
선진국의 경우, 1970년대 후반부터 보행자 중심의 도시환경 조성 목표를 수립해 생활권 도로에서 차량 속도 제한, 차로폭 축소 등 보행자의 안전 및 편리성을 강화시켜 왔다. 안행부는 지난해 8월 ‘보행안전 및 편익증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보행권을 도입했고, 사람 중심의 보행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전국 시군구에 1개소 이상 보행환경 개선지구를 설치할 계획이다.
안행부 이재율 안전관리본부장은 “교통사고 전체 사망자 중 보행자 사망사고가 37.8%로서 OECD 평균의 2배다”며 “앞으로 보행여건이 열악한 지역의 시설 정비와 보행권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단속 강화 등 범정부적 차원에서 사람 중심의 보행 생활안전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