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한중 복합운송 중국 강소성으로 확대
이재규
| 2014-03-03 08:57:06
시사투데이 이재규 기자] 국토교통부는 지난 26일 중국 연운항시에서 한중 해상육상 복합 화물자동차 운송 협력위원회 제4차 회의를 개최한 결과, 복합운송 적용항구로 연운항을 추가 개통하고 운행구역을 강소성까지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한중 복합운송은 양국 항만에서 화물의 환적작업 없이 피견인 트레일러 자체를 카페리에 선적해 운송하는 방식으로 운송시간과 비용 절감은 물론 화물 파손위험도 적어 LCD, 전자부품 등 고가화물과 신선도 유지가 필요한 활어 운송 등에 매우 유용한 수송방식이다.
복합운송 사업은 2010년 12월 인천-위해 항로를 시작으로 한국의 인천, 평택, 군산항 등 3개 항구와 중국의 위해, 청도, 일조, 석도, 용안, 연태항 등 6개 항구에서 총 7개 노선으로 진행 중이다.
이번 회의에서 양국은 중국 강소성 전역으로 트레일러 운행구역을 확대하고 연운항 항구의 개통에 합의하는 등 큰 성과를 보였다.
이에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닉스 등 우리나라 기업이 많이 진출해 있는 강소성 내 고가물량 운송방식이 복합운송으로 전환되고, 국내 기업의 물류비용, 시간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환적작업 없이 화물을 운반해 강소성 내 물량이 많은 반도체 부품 등 충격에 약한 화물의 파손 위험도 크게 줄일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국 트레일러의 운행구역이 확대되고 신규 항구가 개통됐다는 점에서 이번 제4차 협력위원회의 의미가 매우 크다”며 “향후 통관 절차를 더욱 간소화 하는 등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