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방향별 이용차량 자동감지..불필요한 신호대기 사라져"

김균희

| 2014-07-23 10:01:46

경찰청과 협의해 ‘감응신호시스템’ 국무회의 보고 감응식 교통신호 구성도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은 22일 교차로 소통능력을 높이고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교차로 감응신호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하고 이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일반신호시스템은 교통상황에 관계없이 신호가 고정적으로 반복 표출돼 불필요한 신호대기와 신호위반을 유발하고 있다. 감응신호시스템은 방향별 이용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해 꼭 필요한 신호만 부여하고 나머지 시간은 주도로에 직진신호를 부여하게 된다. 교차로에서 불필요한 신호대기와 혼잡을 완화하고 신호 위반을 감소시킬 수 있어 선진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 서울시, 이천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 적용한 바 있으나 포장체 속에 매설되는 차량검지기 파손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문제 등으로 본격 도입되지 못했다. 국토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도입효과 검증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올 4월까지 경찰청과 협의해 화성시 국도43호선 장안대입구~왕림성당 앞 2.0km 구간, 포천시 국도87호선 가산교차로~유교3교차로 2.0km 구간에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시범사업 결과, 교차로 1개소당 직진(녹색) 시간은 시간당 약 11분(27%↑) 증가, 통과 차량대수는 약 259대 증가(12%↑), 신호위반 건수가 1일 167건 감소(51%↓)하는 효과가 있었다. 국토부는 시범사업 효과를 전국 주요국도에 적용할 경우 사회적 편익이 연간 4,640억원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시범사업에서 변형에 강한 특수포장을 교차로에 적용해 차량검지기 파손문제도 해소했다”며 “감응신호시스템을 확대 도입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설치기준과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 예정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