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할린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국내 봉환
이성애
| 2014-08-27 07:52:11
시사투데이 이성애 기자] 대일항쟁기 사할린 지역에 강제동원 된 한국인 희생자 18명의 유골이 국내로 봉환된다.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위원회)는 러시아 정부와 협의를 통해 대일항쟁기 사할린 지역에 강제동원 됐던 한국인희생자 유골 18위를 오는 28일 국내로 봉환해 29일 국립 망향의 동산에 안치한다.
1930년대 후반의 국가총동원 체제와 태평양전쟁 이후 한반도에서 수많은 한인들이 모집, 관알선, 징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할린의 탄광과 토목공사현장, 공장 등으로 끌려가 현지 한인들과 함께 강제노동에 시달려야만 했다.
이들 중 일부 한인들은 다시 일본으로 강제 전환 배치돼 가족들과 생이별을 강요당했고 전쟁 말기에는 사할린의 일본인들이 한인들을 집단학살한 사건도 발생했다. 해방 후 일본인들은 사할린지역의 한인들을 그대로 방치했다. 1990년 한·러 수교 이전까지 이들은 귀국하지 못하고 고향을 그리워하며 한 많은 생을 마감해야만 했다.
1990년대 이후 외교부와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사할린 한인들의 영주귀국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2005년 이후 위원회는 사할린지역 한인 강제동원 피해조사와 지원, 사망한 한인들의 묘지조사와 유골 봉안을 해결하기 위해 매진해 왔다.
위원회는 2007년부터 사할린에서 한인 묘를 찾는 사업을 진행 중으로 현재까지 약 1만여기의 한인 묘를 확인했다. 이 중 2011년과 2012년 조사된 한인 묘 6,598기 가운데 1930년 이전 출생자로서 강제동원 대상 묘는 2007기, 유족이 확인된 한인 묘는 1,045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위원회와 외교부는 한인 희생자의 유골을 국내로 봉환하기 위해 러시아정부와 협의를 추진한 결과, 지난해 5월 양국 정부는 인도주의적 협력 차원에서 한국인 묘지의 발굴과 봉안에 합의했다. 이어 8월 고 유흥준의 유골을 봉안하는 성과를 냈고 올해 2차로 한인 희생자 유골 18위를 봉안하게 됐다.
한인 희생자 유골 18위는 26, 27일 사할린 현지에서 발굴·화장돼 28일 현지 추도식을 거행하고 국내로 봉환해 29일 국립 망향의 동산에서 추도식 후 봉안당에 안치한다. 동 추도식 행사에는 사할린지역 강제동원피해자 유족단체는 물론 정부 관계부처 요인과 국회의원, 그리고 주한러시아대사, 주한일본대사 등이 참석해 추도사 낭독과 헌화 및 분향을 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