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전기통신서비스 요금고지서 관련 금지행위 세부 유형 및 심사기준과 개인정보취급방침의 전자적 표시방법 고시 2건 폐지

윤용

| 2014-11-28 18:33:23

이용자정책 관련 규제완화 등 고시 정비 추진 방송통신위원회 body{font-family: Tahoma,Verdana,Arial;font-size: 11px;color: #555555;margin: 0px}td{font-size :11px; font-family: Tahoma,Verdana,Arial;}p{margin-top:1px;margin-bottom:1px;}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전기통신서비스 요금고지서 관련 금지행위 세부 유형 및 심사기준'과 '개인정보취급방침의 전자적 표시 방법' 등 2건의 고시를 폐지한다고 28일 밝혔다.

방통위는 통신상품마다 요금고지서에 기재돼야 하는 내용과 기재방법이 다를 수 있어 일괄적으로 고지서 양식을 정하는 것은 오히려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는 우려를 고려해 해당 규제를 완화한다고 밝혔다.

또 구체적 방법에 대한 규제가 없더라도 요금고지 관련 이용자의 이익을 해치는 사항은 금지행위로 규정돼 있어 고시폐지로 인한 문제점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전자적 표시방법'은 이용자가 웹브라우저의 별도 도구창을 통해 웹사이트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적용방법 등을 정한 고시다.

아울러 전자적 표시방법은 이용자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브라우저에서만 실행되는 등 활발히 이용되지 않고 있다.

고시폐지 이후에도 이용자들은 홈페이지, 점포, 간행물 등을 통해 여전히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확인할 수 있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앞으로 이용자보호에 영향이 없는 불필요한 규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개선하여 실효성 있는 규제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방통위는 방송통신 환경변화에 따라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정비하여 현실성 있는 규제환경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