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지난해 항공여객은 8천만 명 돌파..사상 최고 실적 기록

이해옥

| 2015-01-26 10:33:59

항공운송산업 성장세 지속 전망 2014년 항공운송시장 동향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2014년 항공운송시장은 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증가하며 역대 연간 최대실적을 갱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항공여객은 8천만 명을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항공화물은 370만 톤으로 전년대비 5.6%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제선 여객은 중국과 동아시아 방한수요 확대, 저비용항공사 여객수송 증가, 원화강세, 유류할증료 인하, 대체휴일제 시행 등에 따른 항공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11.4% 상승해 역대 최대실적을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일본(△1.6%)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증가했고 특히 중국은 지속적 한중노선 수요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대비 26.7% 성장했다.

공항별로는 중국노선 운항이 큰 폭으로 확대된 양양(4만 명→18만 명)·청주(21만 명→47만 명)·제주(156만 명→225만 명) 공항 실적이 크게 증가했고 전체적으로 모든 공항이 성장세를 기록했다. 항공사별 여객실적의 경우 국적항공사는 6.9%, 외국계 항공사는 19.8% 증가했다. 국적사 점유율은 62.6%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는 51.1%, 저비용항공사는 11.5%를 기록했다.

국내선 여객은 대체휴일제 시행, 저비용항공사 국내선 공급 확대, 김포-제주 노선 등 제주노선 수요의 지속적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10.3% 증가했다. 공항별로는 운항이 확대된 대구(39.6%)·제주(12.7%)·광주(11.4%) 공항의 실적 증가가 두드러졌고 김포공항도 전년대비 9.8% 성장했다.

항공화물의 경우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 확대와 수출입 호조에 따른 화물 수요증가로 전년대비 5.6% 성장해 369만 톤을 기록했다. 국제화물의 경우 반도체 제조용 장비 및 무선통신기기 부품 수출입 증가, 유가하락으로 인한 항공화물 수요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국내 화물도 28만 톤으로 전년대비 12.0% 증가했다.

2014년 항공여객은 중국관광객 방한수요 증가, 저비용항공사의 해외 근거리 운항 확대, 내국인 해외여행 증가, 제주노선 관광수요 확대 등의 영향으로 연간 8천만 명 시대를 열었다. 세계 경제 회복에 따른 화물기 운항 확대와 유가하락에 힙 입어 항공화물도 성장세를 나타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항공운송시장을 일본의 양적 완화 및 중국 위안화 정책 변동 가능성,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세계경제 불확실성과 환율 변동성 등 잠재적 리스크가 상존한다, 그러나 중국과 동아시아 지역의 한국 관광수요 지속 확대, 유가 하락의 영향 및 수출입 화물증가 등으로 항공운송산업이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