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공데이터, 민간에서 활용하도록 개방"

이윤지

| 2015-04-17 10:39:35

271억 원 투입, 207건 추가 개방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국토교통부는 국토, 교통 분야에서 생산되는 공공데이터를 기업, 국민 등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올 연말까지 총 1,114건을 개방한다. 국토부는 ‘2015년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파급효과가 높은 부동산종합정보, 건축정보, 수자원정보 등 207건의 고수요·고가치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개방한다. 또한 공간·교통 정보제공의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고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오류 데이터를 점검하는 등 고품질의 데이터 제공을 통해 민간 활용도를 제고한다.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포럼단과 행정자치부의 지원 그룹을 활용해 수요조사를 수시로 실시하고 민간기업의 애로사항 지원과 활용 서비스 개발환경을 조성한다. 개방된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발굴 아이디어 공모, 공간정보 관련 예비창업자에 대한 기술·경영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올해 공공데이터 분야 예산은 공공데이터 DB구축 등 기반 조성사업에 170억 원, 민간·공공상생의 데이터 생태계 조성에 38억 원, 데이터 개방에 따른 품질제고 등에 6억 원으로 총 271억 원을 투입한다.

공공데이터 개방은 2013년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범정부적으로 국토, 교통, 과학기술, 문화관광, 해양수산 등 15대 전략 분야에서 각 중앙부처 별로 데이터를 개방해 왔다.

국토부는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부동산, 건축, 공간정보, 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2013년부터 2014년 말까지 총 907건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한 바 있다. 또한 행자부와 협업해 공공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건축, 자동차 관련 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했고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창업지원과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7년까지 부동산 등 공간정보 시장확대, 광역 교통정보 실시간제공으로 교통 혼잡과 교통사고 감소, 물류비용 절감 등으로 6만여 개의 일자리와 총 26조 8천억 원의 사회적 편익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