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비소의 독성 낮추는 신종 박테리아 발견

이지혜

| 2016-01-07 11:24:22

비소 오염 토양의 위해성 낮추기 위한 실용화 시험 예정 전자현미경 사진(scanning electron microscope)간균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음

시사투데이 이지혜 기자] 국립생물자원관은 박수제 제주대 교수팀과 함께 고농도 비소가 함유된 광물찌꺼기로부터 비소의 독성을 저감시키는 신종 박테리아를 최근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비소(As)는 간, 신장, 피부 등에 암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로 구리, 납, 아연 등의 금속을 제련할 때 부산물로 생기며 폐광지역이나 제련소 주변에서 검출되는 경우가 많다. 자연환경에서 주로 산화된 형태인 아비산염이나 비산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아비산염의 형태가 비산염보다 물에 녹는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독성도 20∼60배 이상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의 비소에 대한 반수치사량(LD50)은 아비산염은 14ppm, 비산염은 20ppm이며 아비산염 형태가 더 치명적이다.

이번에 발견한 신종 박테리아는 위해성이 높은 아비산염 약 1,200ppm(mg/kg)을 같은 양의 비산염으로 산화시키는 능력이 있다. 신종 박테리아는 고농도 비소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갖췄고 비소의 내성이 있는 다른 박테리아보다 2배 이상 높은 산화능력을 갖고 있다.

신종 박테리아는 비소(930ppm), 구리(550ppm), 납(430ppm) 등 여러 중금속의 수소이온농도(pH) 3.8인 극한 환경에서 분리한 우리나라 토착 미생물이다. 국립생물자원관과 박수제 제주대 교수팀은 이번 신종 박테리아를 ‘헤르미니모나스 아르세니톡시던스(Herminiimonas arsenitoxidans)'로 명명하고 특허출원 중에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측은 “이번 신종 박테리아가 비소의 독성이 강한 아비산염을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은 비산염으로 산화시키는 능력이 강해 비소가 함유된 토양의 독성을 낮추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