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최초의 분산형 빗물관리로 기후변화 대응
이윤지
| 2016-05-03 10:35:49
아산탕정신도시에 분산형 빗물관리시설 조성공사 준공
분산형 빗물관리 개념도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국토교통부는 아산탕정신도시 시범지역(175만㎡)에 단지나 건축물이 아닌 도시 단위로는 최초로 분산형 빗물관리 체계를 4월 30일 구축했다.
기존 도시개발에서는 빗물을 빠르게 집수하고 배수하는 중앙 집중형 빗물관리에 중점을 두었으나 아산탕정신도시는 빗물을 발생원에서 머금고 가두는 분산형 빗물관리방식을 도입했다. 침투도랑, 측구형 침투시설, 식생수로, 빗물 저류조, 투수성 블록 등 분산형 빗물관리시설을 통해 빗물을 발생원에서 침투, 저류하고 저류된 빗물은 조경용수, 청소용수, 하천 유지용수 등으로 이용하도록 했다.
국토부 측은 “유출량 감소에 따른 방재효과, 저류량 증가에 따른 대체 수자원 확보, 발생원(비점오염원) 침투로 인한 오염저감 등이 예상된다”며 “아산탕정신도시에 시범 도입된 분산형 빗물관리체계를 1년간 모니터링 해 면밀히 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향후 그 적용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