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59.5% ‘주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 참여’
장수진
| 2017-01-19 13:54:06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한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전국 17개 시·도 만 10세 이상 국민 9,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한 비율은 2014년 54.8%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59.5%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56.0%와 대비해 3.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10대의 63.1%가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해 다른 연령층보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작년에 비해 14.1%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학교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의 긍정적 효과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10대 여학생 참여율은 54.9%로 2015년 35.2% 보다 19.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부터 학교 스포츠클럽 종목의 일정 비율 이상을 해당 학교의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종목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여학생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효과로 해석된다.
‘한 달 1번 이상 규칙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응답자(70.5%)’가 참여하는 체육 종목은 2015년과 동일하게 ‘걷기’(35.6%), ‘등산’(16.7%), ‘보디빌딩’(14.6%)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조 참여율은 높지 않지만 응답자의 5.3%가 체조에 참여해 2015년 2.6% 대비 2배 가까이 상승했다.
체육 참여 시간은 퇴근 후인 ‘저녁 6~10시’ 참여율이 36.3%로 가장 높았다. 점심시간인 ‘12시~오후 2시’ 참여율은 4.0%로 가장 낮았지만 전년과 대비해 2배 이상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근 후 저녁시간과 점심시간 참여율은 증가한 반면 그 외 시간대의 참여율은 모두 감소했다.
규칙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15.9%) 60% 이상은 ‘시간 부족’(64.6%)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관심 부족’(37.7%), ‘체육 시설 접근성 낮음’(23.6%), ‘비용 부담’(17.3%) 등으로 나타났다.
문체부 측은 “생활체육에 규칙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주된 이유가 ‘시간 부족’으로 나타남에 따라 생활체육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라는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시설 접근성’ 문제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는 줄어드는 추세이므로 기존 시설을 이용한 생활체육 시설을 확충하고 정책적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