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제 당장 이번 하반기부터 시행 추진"

윤용

| 2017-06-22 16:31:16

수석보좌관회의 주재 "공공기관 이력서에 학벌·학력·출신지 기재 없애라…지역 이전 공공기관 신규채용시 지역인재 30% 이상 채용하길"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사진=청와대)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당장 이번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에서 채용을 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도를 실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보좌관회의 모두 발언에서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될 경우 하반기에 공무원이나 공공부문에서 추가 채용이 있을 것"이라며 "공무원과 공공부문은 정부 결정만으로 가능하지 않겠나"라고 이같이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채용하는 분야가 일정 이상의 학력이나 스펙, 신체조건을 요구하는 특별한 경우 외에는 이력서에 학벌·학력·출신지·신체조건 등 차별적 요인을 일절 기재하지 않도록 해서 명문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 똑같은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이번 하반기부터 당장 시행했으면 한다"며 "공무원과 공공부문은 우리 정부의 결정만으로 가능하지 않겠나. 그렇게 추진해달라"고 지시했다.

대선 당시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의무제를 공약한 바 있다. 또 입학에 형평성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는 로스쿨 입시를 100% 블라인드 테스트로 개선해 가난한 학생들에게도 문호를 넓히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블라인드 채용제) 법제화 전까지는 민간 쪽은 우리가 강제할 수 없는데, 민간 대기업들도 과거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한 사례들에 의하면 훨씬 실력과 열정 있는 인재를 채용할 수 있었다는 게 증명이 됐다"며 "민간 대기업들에도 권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과거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한 사례들에 의하면 그것을 실시했을 때 훨씬 실력 있고 열정 있는 인재들을 채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 증명이 많이 됐다"고 블라인드 채용제의 효용성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혁신도시 사업에 의해 지역으로 이전된 공공기관들이 신규 채용을 할 때는 적어도 30% 이상은 지역인재를 채용하도록 하는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를 운영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원래 혁신도시 사업을 추진할 때부터 (지역인재 채용 할당이) 하나의 방침이었는데 그 부분이 들쭉날쭉하고 있다"며 "관심을 갖고 노력하는 공공기관은 20%대를 넘어선 곳이 있고, 관심이 덜한 공공기관은 아직도 10% 미만도 안 될 정도로 지역마다 편차가 심하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적어도 30%선 정도는 지역인재를 채용하도록 확실히 기준을 세우든지 독려하든지 하기를 바란다"며 "그래야 혁신도시 사업이 지역의 인재까지도 발탁하고, 그래서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내는 진정한 혁신도시, 진정한 국가 균형발전사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연내에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한다. 블라인드 채용을 민간부분까지 확대하기 위한 법 개정도 추진할 방침이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블라인드 채용의 공공부문 도입 및 민간 확산을 위해 인사 지원서와 면접에서 편견이 개입할 수 있는 출신과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삭제하고 실력으로 평가할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이어 "공공기관은 10월까지 준비해 금년 내 도입을 할 예정"이라며 "민간 도입의 확산을 위해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마련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법률개정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6월 중으로 기재부, 행자부, 인사혁신처, 관계부처 합동으로 공공부분 블라인드 채용 방안을 확정하고 발표할 계획"이라며 "지역할당과 관련해서 무늬만 지역 인사를 형식적으로 채우지 말고, 실제 그 지역에서 활동하는 인사를 채울 것을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