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 지문사전등록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 확대
이윤재
| 2018-03-02 10:04:57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앞으로는 어르신들이 전국 보건소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에서도 지문사전등록을 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심각해지는 치매노인 실종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 경찰청과 공동으로 실종 치매노인 조기 발견을 위한 ‘지문 등 사전등록’ 협업을 추진한다.
실종대비 사전등록은 아동, 장애인, 치매노인 등이 실종됐을 때를 대비해 경찰시스템에 미리 지문, 얼굴 사진, 신체특징, 보호자 인적 사항 등을 등록해 놓고 실종됐을 때 등록된 자료를 활용해 신속히 발견하는 제도다.
경찰청은 아동, 지적장애인, 치매환자의 실종방지를 위해 2012년부터 지문사전등록 제도를 운영해 왔다. 적극적으로 지문사전등록이 이루어지는 아동과 달리 치매노인의 경우 질병 공개를 기피하는 보호자의 인식으로 사전등록률이 12.9%로 저조한 실정이다.
행안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지부, 경찰청과 협의해 지문사전등록 서비스 기관을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로 확대하는 협업방안을 마련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환자 상담, 검진, 사례관리 등 치매환자에 대한 종합적인 창구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지문사전등록 기반 구축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치매안심센터 운영지침’을 개정한다. 경찰청은 지문 등 사전등록시스템 접근권한 부여와 사전등록 지침 작성 제공 등 치매안심센터의 지문 등 사전등록시스템 사용을 지원한다.
행안부는 치매안심센터 외에 주민센터에서도 사전등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김일재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이번 협업은 국정과제인 치매국가책임제의 중점과제 추진을 위한 것으로 실종 치매노인의 조속한 발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