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사망자 90% 이상 죽기 전 경고신호 보내
김균희
| 2018-05-04 15:58:34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의 대부분은 죽기 전 자살징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심리부검센터는 2015~2017년 3년 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자살사망자 289명 사례를 분석한 ‘심리부검(psychological autopsy)’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심리부검은 자살사망자의 유가족 진술과 기록을 통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해 자살의 구체적인 원인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자살사망자의 92%는 사망 전 자살징후를 드러내는 ‘죽고싶다’, ‘주변정리’, ‘우울·불안’ 등을 통해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살 유가족의 21.4%만이 고인의 사망 전 경고신호를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인의 사망 전 자살 경고신호를 인지한 유가족들도 어떻게 대응할지 몰라 자살의사를 확인하거나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자살사망자 상당수는 약물이나 알코올 등 자극추구(36.0%), 자해(12.8%) 또는 자살시도(35.6%)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에 영향을 미쳤던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정신건강(87.5%), 가족관계(64.0%), 경제적(60.9%), 직업(53.6%) 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의 45.3%는 가족에게 발견됐다. 자살유가족은 자살사건 발생 후 심리적·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자살유가족 352명 가운데 80.1%가 우울감을 느꼈고 이 중 95명(27.0%)은 심각한 우울증, 일부 유가족은 수면문제(36.4%), 음주문제(33.8%)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이번 심리부검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100만 명 양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살예방 게이트 키퍼는 가족이나 친구, 이웃 등 주변인의 자살위험 신호를 신속하게 파악해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훈련받은 사람.
중앙심리부검센터 전홍진 센터장은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보인다면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의료기관 등 자살예방 전문기관에게 연결해야 한다”며 “주변의 관심을 통해 살릴 수 있는 생명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