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팩 '일반팩'·'멸균팩' 따로 분리배출..6만 가구 시범사업 착수

정인수

| 2021-12-01 16:02:24

'종이팩 회수·재활용 체계 구축' 추진 일반팩(살균팩) 멸균팩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정부가 공동주택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에 착수한다.

환경부는 지자체, 민간기업과 함께 종이팩을 종류별로 모아 각기 재활용하는 '종이팩 회수·재활용 체계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환경부는 종이팩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12월부터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추가적인 종이팩 회수 경로를 발굴하기 위한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이번 사업은 남양주시, 부천시, 화성시와 세종시 내 66개 공동주택 단지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일반팩과 멸균팩을 구분해 투입할 수 있는 종이팩 전용수거함과 봉투를 배부하고 분리 배출된 일반팩과 멸균팩은 해당 지자체의 책임 아래 서로 섞이지 않도록 수거해 각기 재활용한다.
환경부는 이번 1단계 시범사업에 이어 내년 2월부터 전국 공동주택 100만 가구, 대량배출원 300곳을 대상으로 사업 규모를 확대하는 2단계 사업을 준비 중이다. 이를 토대로 내년 하반기부터 전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대량 수거가 어려운 지역은 민간 부문과 협력해 택배를 활용한 종이팩 회수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앞서 지난달 10일 매일유업, 삼육식품, 서울우유, 연세우유, 정식품, SIG콤비블록, 테트라팩코리아, 닥터주부,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 등 9개 기관과 택배를 활용한 종이팩 회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종이팩은 일반적으로 파지와 함께 배출돼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잔재물로 처리됨으로써 재활용률은 16%에 불과하다. 멸균팩은 사용된 알루미늄박과 황색 펄프가 재활용제품의 품질과 백색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일부 용도를 제외하고는 재활용이 어렵다는 것이 제지업계의 일반적인 입장이다.
특히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증가하면서 상온보관이 가능한 멸균팩 출고량이 크게 늘면서 그간 일반팩을 중심으로 구축된 종이팩 재활용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환경부 측은 “종이팩을 배출 단계에서부터 종류별로 분리하면 파지 재활용 비용은 낮추고 재활용제품의 품질은 높이면서 종이팩 자체의 재활용률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