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1995년 발표한 협동조합 정체성 선언, 협동조합운동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넓혔다"
윤용
| 2021-12-01 17:18:25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일 "국제협동조합연맹 설립 125주년과 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 개막을 축하한다"며 "지난해 대회가 코로나로 연기되어 아쉬움이 컸던 만큼 더욱 알찬 시간이 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 개막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오늘날 협동조합은 세계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성장했고 세계적으로 300만 개가 넘는 협동조합이 결성되었고, 10억 명 이상이 조합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협동조합이 직간접으로 만들어 낸 일자리도 2억8,000만 개가 넘는다. 1995년 발표한 협동조합 정체성 선언은 사회적가치에 대한 기여를 원칙으로 확립하고, 협동조합운동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넓혔다"며 변화와 혁신을 멈추지 않은 협동조합운동가들의 노력에 경의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협동조합의 정신이 세계 곳곳 우리 사회 전반의 가치로 확산되어야 한다"며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경제기업 간 협력이 더 긴밀해질 때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상생 협력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사회적경제기업이 실천해 왔던 ESG 경영이 일반 기업으로 확산될 때 탄소중립의 길도 더 가까워질 것이며, 무엇보다 시민들의 참여가 중요하다. 시민단체와 국제기구, 각국 정부와의 소통을 통해 더 많은 시민들이 협동조합의 사회적가치와 함께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희망했다.
또 "한국은 농번기에 서로의 일손을 덜어주던 두레, 품앗이 같은 협동을 통해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해 온 전통이 있다. 근대적 협동조합운동 역시 자생적으로 피어났다"며 "식민지 수탈에 대응하여 1920년대부터 다양한 소비조합이 설립되었고, 경제적 자립이 정치적 자립의 길이라는 마음으로 생산조합을 결성해 국산품 생산과 판매 활동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2017년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선정했다"며 "금융, 판로, 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민간과 지자체, 정부가 참여하는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해 사회적경제가 자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 결과, 불과 4년 만에 협동조합을 포함한 사회적경제기업 수는 2만 개에서 3만1,000개로, 고용 규모는 24만 명에서 31만 명으로 증가했다"며 "이제 사회적경제는 한국 경제의 한 축으로 튼튼하게 뿌리내렸고, 상생과 나눔의 실천으로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희망을 전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전‧현직 과학수사요원들로 구성된 한국법과학협동조합은 사회적 약자들을 위해 과학수사를 지원하고 있다"며 "의사들과 지역 주민이 힘을 모은 함께걸음의료복지협동조합은 마을병원을 열어 어려운 이웃들의 건강을 지켜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한국 정부는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경제를 더욱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면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사회적경제 기본법’, ‘사회적 가치법’, ‘사회적경제 판로지원법’ 등 사회적경제 3법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