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상가·야외장터 실내 주소 부여..25개 지자체 적용

이지연

| 2023-04-25 09:41:08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행정안전부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복잡한 지하상가, 헷갈리는 지하철 역사 등 실내에도 주소가 부여돼 길찾기가 한층 쉬워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주소체계 고도화와 주소기반 신산업 모델 개발을 선도할 지자체 25곳을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전국 확산을 목표로 시행되는 주소정책 선도사업은 '국비지원 사업'과 지자체에서 시범운영되는 '특별교부세 지원사업'으로 나눠 진행된다.

국비지원 사업에는 20억7천만 원이 투입되며 17개 지자체에서 ▴주소기반 드론 배송, ▴주소기반 로봇 배송, ▴자율주행차 주차 인프라 구축, ▴대규모 판매시설 주소 세분화, ▴주소정보시설 테스트베드 등이 시행된다.

특별교부세 지원사업은 12억 원 규모로 8개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된다. ▴주소기반 실내내비게이션 실증, ▴항‧포구, 강 내 시설 주소부여, ▴사물인터넷 기기에 주소적용 및 지능형 주소정보시설 설치, ▴도로시설물에 주소정보 적용,▴지하시설물에 주소정보 적용, ▴시간개념 사물주소 시범구축 등이다. 시간개념은 거리공연장, 야외장터, 푸드트럭, 배달존 등 일정 기간·시간에만 운영하는 장소 또는 시설물에 부여하는 주소다.

최훈 지방자치균형발전실장은 “이번에 선정된 시범사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발굴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