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지역 이산가족 10명 중 8명 "북한가족 생사여부 확인 못해"
이윤재
| 2024-02-07 11:09:38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북미지역에 거주하는 이산가족 10명 중 8명(80.7%)은 아직까지 북한가족의 생사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의 90%는 '생사확인'을 희망하고 있었다.
통일부는 지난해 처음 실시했던 '북미지역 해외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남북이산가족찾기시스템에 등록한 미국·캐나다 지역 이산가족 총 825명에 대해 연락처 현행화를 진행해 조사에 응답한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응답자의 51.3%가 80대 이상으로 남성 63.9% 여성이 36.1%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북미지역 이산가족의 19.3%가 북한가족의 '생사확인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생사확인 방법으로는 '민간교류 단체·개인을 통한 방법'(52.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당국을 통한 생사확인 비율은 13%였다.
이산가족을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는 '생사확인'(59.7%), '고령층 우선 교류'(51.3%), '대면상봉'(24.4%), '고향방문'(24.4%)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희망하는 생사확인 방법으로는 '통일부 및 대한적십자사 등을 통한 확인'(82.8%)을 가장 선호했고 '민간교류 주선단체·개인' 등을 통한 방식(13.8%)도 있었다. 이는 생사확인 결과에 대한 신뢰와 재북 가족의 안전 등을 고려해 공식적인 경로 통한 생사확인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통일부는 추정했다.
교류 희망 장소로는 '판문점 등 중립지역'(28.2%), '서울'(17.3%), '금강산면회소'(17.3%), '평양'(11.8%) 순으로 답했다.
이번 해외실태조사는 이산가족 신청정보 현행화와 정책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해외이산가족들이 다수 거주하는 미국, 캐나다를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실시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주)를 통해 전화조사, 온라인 조사, 방문조사 방법으로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했다.
통일부는 이번 북미지역 이산가족 실태조사를 계기로 국내외 이산가족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