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초중고 168만명 대상
김애영
| 2024-03-28 14:24:30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여성가족부는 오는 4월 교육부, 시‧도 교육청 등과 협력해 '2024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진단조사는 전국 학령전환기인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167만여명을 대상으로 1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다.
진단조사는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도박경험 등을 점검해 미디어 과다이용에 따른 문제를 조기발견하고 맞춤형 치유를 지원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이 실시한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에 따르면 도박을 처음 경험한 평균 연령은 2020년 12.5세에서 2022년 11.3세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는 청소년 도박경험의 저연령화에 따라 사이버도박 중독에 대한 진단조사 대상을 기존 중등 1학년, 고등 1학년에서 초등 4학년까지 확대한다. 디지털미디어 확산에 따른 다양한 역기능에 대응하기 위해 진단조사 명칭도 기존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에서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로 변경했다.
진단조사 결과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또는 청소년 도박문제 위험군에 해당하는 청소년에게는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기수준에 따라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추가 심리검사를 통해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 종합심리검사와 병원치료를 연계 지원한다.
집중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에게는 미디어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 전문상담과 대안활동을 제공하는 기숙형 치유캠프 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이버 도박 위험군 청소년 중 미디어 과의존이 함께 나타난 경우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우선 상담을 실시하고 고위험군으로 판단되면 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로 연계해 전문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최문선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들이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참여를 통해 미디어 의존도 및 도박경험 등을 점검하고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