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 박미라 기자] 감독인 김연경이라니..감독으로 데뷔전을 치른 '배구 여제' 김연경은 다른 감독들처럼 옆구리에 작전판을 끼고 열정적으로 선수들을 독려했다.
지난 1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KYK 인비테이셔널 2025 둘째 날 세계 올스타 경기에 감독 겸 선수로 나선 김연경은 선수로서는 고별전을 치르고, 감독으로는 처음으로 팬들에게 인사했다.
1·3세트는 감독, 2·4세트는 선수로 출전한 김연경의 모습에 배구 팬들은 김연경의 머지않은 미래 모습을 그려보며 즐거워했다.
특히 중계화면에 잡힌 '감독' 김연경의 작전판에는 덩그러니 하트만 크게 그려져 있었다.
경기 후 김연경은 "'KYK 엔조이'(enjoy)가 작전이었다"면서 "경기 중에도 그 작전판을 보여주면서 '이게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며 웃었다.
이어 "진짜 감독이라는 게 쉽지 않다는 걸 느꼈다. 선수들이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수월했다. 만약 나중에 감독한다면, 오늘이 가장 편한 날이었을 것"이라며 향후 지도자로 코트에 돌아올 날을 기약했다.
지난 2024-2025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한 김연경은 지도자와 행정가 등 여러 계획을 열어두고 있다.
이번 세계 올스타 대회는 김연경이 '1인 3역'으로 선수와 지도자, 행정가를 모두 경험한 무대였다.
김연경은 "감독만 해도 쉽지 않았다. 감독도 하고, 선수도 하고, 많은 역할을 하려니까 부족했다"면서 "감독이라는 자리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안다. 나중에 지도자 생각도 있기 때문에,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한다"고 돌아봤다.
이번 세계 올스타전에는 김연경이 국외 리그에서 활약할 당시 인연을 맺었던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도 함께 했다.
이미 코트를 떠난 선수도 있고, 은퇴 시기가 다가와 고민 중인 선수도 있다.
이들에게 조언을 구했다는 김연경은 "지도자가 어울린다는 의견도 있고, 행정이나 방송 쪽으로 재능이 보인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래서 제가 하고 싶은 걸 하면 될 것 같다"며 활짝 웃었다.
이어 "만약 지도자를 한다면, 워낙 친구가 많으니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국제배구연맹(FIVB)에서 여자 코치를 (의무적으로) 팀에 둬야 한다는 뉴스를 봤다. 좋은 타이밍에 은퇴해서 제안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했다.
김연경의 말대로, FIVB 이사회는 2026년에 열리는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부터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최소한 한 명의 여성 코치를 등록하도록 의무화했다.
'배구 여제' 김연경은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값진 경험을 쌓았다.
시사투데이 / 박미라 기자 4724014@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