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정보, 방재기상정보, 해양재난정보 등 21개 유관기관의 재난정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신속한 재난복구에 이용된다.
소방방재청(청장 권 욱)은 재난 발생시 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난관련 정보를 공동활용하기 위한 ‘범정부 재난관리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내년 6월 완료 목표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의 목적은 ‘94년 12월 아현동 가스폭발사고의 경우 가스차단 밸브 위치파악 등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해 화재진압이 크게 지연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졌고, ‘04년 3월 폭설 시에는 염화칼슘, 제설차 등 관련물품 및 장비 보유기관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지 못해 제설작업에 지장이 많았고, 지난 3월 일본 후쿠오카 지진발생시 상황전파 지연에 따라 재난상황 전파체계 일원화가 필요한 바 재난관리를 위해 각 기관이 보유한 재난관련 정보를 공동 활용하여 기관간 공조체제를 확고히 함으로써, 정부의 총체적인 재난관리 역량을 높이는데 있다.
재난관리 네트워크 구축 사업의 주요 내용은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정보, 기상청의 방재기상정보, 해양수산부의 해양재난정보 등 21개 유관기관의 재난관련 정보를 연계하는 재난정보 공동 활용 시스템 구축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의 메신저 기능 등을 통해 유관기관에 신속하게 재난 상황을 통보하는 재난 상황전파 시스템 구축, 소방기관에서 운영중인 긴급구조시스템과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을 연계하는 것이다. 재난관리 네트워크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지금까지 전화, 일반팩스 등 저능률 시스템에 의해 전파되던 재난상황이 앞으로는 재난관리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One Click으로 각 기관에 신속히 전파되며, 각 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실시간 검색 활용함으로써, 대처 시간의 단축·시스템 중복구축 방지 등의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방재청은 이번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건설교통부, 산림청 등 21개 주요 재난정보 보유기관을 대상으로 4차례에 걸쳐 협의회를 개최하는 등 사전 의견 수렴과정을 거쳤으며, 앞으로 재난정보 공동활용 협약도 체결할 계획이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이번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우선 2006년까지는 건교부 등 21개 주요 재난관리책임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연차적으로 확대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영상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