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필요량의 14% (100명중 14명) 신장 5,846개 등 15,012개-
국내에서 필요한 장기는 현재 15,012개이지만, 국내에서 공급되어 시술된 장기(臟器)는 2005년 기준으로 2,071개로 14%에 그치고 있다. 이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문희(文姬)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려졌다. 문희 의원은 “최근 장기가 부족하여 중국 등으로 마지막 생존을 위해 불법의료 시술을 떠나는 사람들의 피해가 알려지면서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06년 1월 현재 국내에서 환자가 필요로 하는 장기는 신장 5,846개, 간장 1,905개, 췌장 175개, 심장 161개, 폐 50개, 골수 3,160개 그리고 각막 3,685개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이식받은 장기수는 2005년 기준으로 신장 760(13%)개, 간장 595(31%)개, 췌장 12(7%)개, 심장 26(16%)개, 폐 8(16%)개, 골수 305(10%)개 그리고 각막 365(10%)개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이식받은 장기의 공급비율로 보면 간장이 3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폐와 심장으로 16%를 차지하고 있다. 췌장이 7%로 가장 낮았으며 골수와 각막이 10%로 적은 공급량을 차지하고 있다.
장기기증 희망자 등록 현황을 보면 2005년 뇌사 16,016명, 사후기증 9,760명 이 등록하여 누적으로 지금까지 총13만 2천 233명이 장기기증 희망자로 등록되어 있다. 이는 全국민의 0.27%로 1,000명 중 3명에도 못 미치고 있다
문희 의원은 “국민들의 장기기증 활성화을 위하여 정부에서 대책을 마련하도록 국회에서 강력히 요구하고 필요하면 입법도 하겠다. 시민단체 등과 함께 장기기증 캠페인에 적극 참여하여 국내에서 필요한 장기는 우리나라에서 공급하도록 하겠다. 국내에서 장기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질 때 마지막 생존수단으로 중국 등으로 장기를 구하러 가는 환자와 그 가족들이 줄어들 것이다. 장기기증 확대를 위하여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박지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