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년 주기의 천체 운동에 의해 조수간만의 차가 거의 없어져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정유섭)은 2006년 4월 5일을 전후해서 1987년 9월 16일 이후 19년 만에 제주지역에서 조석에 의한 조수간만의 차이가 거의 없는 무조현상이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예측에 의하면 이날 제주에서의 해수면은 11시 44분부터 14시 34분까지 7cm, 성산포에서 10시 17분부터 13시 10분까지 4cm 변동할 것으로 예측되어 평상시조차 1m내외와 비교하면 거의 고조와 저조의 높이 차가 없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해양조사원이 과거 제주에서 1987년 9월 16일 0시 30분부터 07시까지 6시간 30분 동안 해수면의 변동이 2cm 미만이었던 것을 관측한 이래 최소조차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적도면과 달의 공전궤도면이 이루는 각인 달 적위가 이날 가장 커져 조석을 일으키는 힘이 가장 작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18.6년 주기로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며 2024년 11월경에 다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홈페이지(http://www.nori.go.kr)를 통하여 해양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잘 알려지지 않은 해양현상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일반인들에게 다양한 해양지식을 전달할 계획이다.
-민소진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