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외부 약품검사기관의 데이터조작 등으로 인해 약품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 문 희의원(한나라당, 보건복지위원회)은 약품에 대한 ‘국가인증제’도입을 제안했다. 또한 조속히 식약청에 대하여 외부시험기관에 대한 ‘생동성 시험기관 인증제’를 도입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식약청은 약품에 대한 인력보강과 예산지원도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유통 중인 약품은 총 2만여 품목인데 2005년 식약청은 김치파동 등 수입식품 사고에 대한 대비책으로 증액된 예산 약 400억 원과 인원 약 400여명을 거의 대부분 식품부서에 배치했다. 반면 식약청 내의 의약품 동등성팀원은 7명에 불과하며 이들이 한품목당 생동성 검사보고서 검토에만 2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한나라당 문 희의원이 식약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하여 보도한 것이다. 문 희의원은 “외부기관에서 생동성검사 및 품질관리검사를 했다할지라도 최종적으로는 식약청에서 확인하는‘국가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국민들이 신뢰하고 안심하며 약을 먹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문의원은 정부가 식품의약품안전청을 폐지하는 것(2006.3.2 국무조정회의 결정)에 대해서도 반대했다. 현재 식약청의 전체 직원 1,081여명중 석사 이상 전문 인력이 646명이다. 문의원은 “식약청은 우리나라 최고의 전문 인력 집단이다. 또한 식품과 약품은 상호적 유사관계가 깊다. 두 가지 모두 국민이 먹고 인체에서 대사를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가장중요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아울러 “식약청을 해체하고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식품과 약품을 이원화시키는 것은 효율성면에서는 물론 이번 사태와 같이 안전성면에서도 커다란 문제가 파생될 것이다. 현재 미국은 FDA를 100년째 식품ㆍ약품을 함께 관리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표준이 되고 있다. 이에 모든 나라가 FDA의 안전성과 유효성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의 86%도 통합하여 식ㆍ의약품을 함께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타민음료에서의 화학합성에 의한 벤젠생성, 비타민의 과다복용에 대한 문제점 등 식품과 약품을 한 기관에서 관리해야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소진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