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소장 조정아 www.womenpro.or.kr)에서는 IT전문교육 프로젝트 과정을 개설하여 IT기술교육을 받은 3,40대 기혼 여성들이 일선 현장업체에서 실무를 익힐 수 있는 인턴근무제를 도입하였다.
여성능력개발센터 교육생들은 “꿈으로 행복한 여자, 일로써 당당한 여자”라는 비전을 갖고 1년 반 동안 여성IT전문교육을 수료하고 포트폴리오와 이력서를 양손에 들고 아줌마 인턴사원으로 세상의 문을 두드렸다.
나이 많은 아줌마라는 편견에 큰 웃음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은 그녀들이 지난 일년 반동안 갈고 닦은 IT기술 실력과 멋진 디자인 감각을 보여준 포트폴리오 덕분이다. 여성능력개발센터의 여성IT교육은 단순히 컴퓨터를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웹 디자이너, 자바프로그래머와 같은 직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직무능력개발에 중심을 두고 있다.
“ 결혼 후 집에서 아이키우고 살림하는 사이에 세상은 참 많이도 바뀌었어요. 배워야 할 것도 많고 할 일도 많네요. 내가 좋아하는 일, 관심있는 일을 찾다보니 컴퓨터가 눈에 들어오더군요. 처음에는 컴퓨터 사용하는 법이나 배울까 했는데, 이제는 컴퓨터가 작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 더 재미있어요.
밤을 새우며 공부하는 제 모습을 보면서 남편이 놀라더군요. 주변에서 다들 못 할 거라고 했는데 막상 인턴근무하면서 일을 해내는 모습에 많은 격려를 해주었어요. 여성능력개발센터에서 함께 고생하면서 공부하였던 동료들과 하나라도 가르쳐주시던 선생님, 이력서와 면접 준비에 신경써주신 센터 직원들, 모두가 함께 노력하면서 만들어낸 일이라, 그리고 프로젝트 과정이 올해 처음 만들어진 것이라 다른 여성들에게도 이 프로그램이 계속 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정말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여성능력개발센터에서 자바과정과 자바프로젝트 과정을 배운 현선영씨(42세, 성남시 분당거주)는 2개월간 인턴근무 후 정식으로 (주)아토정보기술(서울 금천구)에 취업 되었다. 프로그래머의 일이 힘들지만, 일을 통해서 세상과 만날 수 있다는 것이 그녀에게는 큰 기쁨이며, 남편과 중학생인 아이들에게도 일하는 엄마의 모습을 보여주어서 커다란 자신감을 심어주게 되었다.
프로젝트 과정은 해당분야 초급 실력을 가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무 프로젝트와 포트폴리오를 2-3개 정도 완성하고, 현장 기업에서 인턴근무까지 하는 교육과정으로 1일 5시간 교육으로 총 285시간의 직업훈련과 2개월의 인턴근무로 총 5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웹디자인 프로젝트와 자바 프로젝트 2개 과정의 교육입교인원 37명 중 33명이 과정 수료를 하여 89.2%의 수료율을 보였고, 인턴 근무에는 31명이 참여하여 93.9%의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청년 인턴근무와 달리 아줌마 인턴 근무에는 업체나 인턴근무자에게 별도의 인턴 수당이 없었지만 해당 기업과 교육생 모두가 여성의 경제적 참여가 우리의 경제 성장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공감을 하였다. 인턴근무 교육생들은 인턴기간 동안 정규직의 70% 정도의 급여를 받고 실무를 쌓은 후에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취업 예정이다.
해당 분야의 초급과정은 여성IT전문교육 장기과정 또는 경기여성e-러닝센터(www.ggw.or.kr)의 온라인 교육으로 수강할 수 있다. 여성IT전문교육은 매년 1월에 연간 교육운영 일정 및 교육생 모집 선발계획을 안내하고 있다.
초급과정의 경우 경기도거주 여성이면 누구나 교육신청할 수 있으며 면접시험을 거쳐 교육생을 선발한다.
프로젝트 과정은 초급과정이수 이상의 선수지식이 있어야 하므로 해당 분야 교육 수료증 및 경력증명서를 면접시험시에 제출하여야 한다.
※ 여성능력개발센터는 1997년 설립되어 국내 최초로 여성IT전문교육과 여성창업지원사업을 실시하였다. 2002년에는 UN 등 세계적 기관들로부터 IT교육과 창업지원으로 여성의 경제력을 향상한 우수 모델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2003년에는 지식정보화사회 세계정상회의(WSIS, 스위스 제네바)의 우수사례 초청, 2005년 WSIS 여성IT& 젠더국제회의 개최(여성센터 & 숙대 아태정보센터 공동개최), 2006년 Women's Global Connection(미국 텍사스) 참가 등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 여성인적자원개발의 중심지이며, 해마다 국내외에서 많은 벤치마킹을 받고 있는 도내 여성인력양성의 산실이다.
교육 문의 : 여성능력개발센터 직업훈련팀 (☎ 031-899-9133~5)
이미현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