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희 의원(국회보건복지위원 한나라당)은 식품원료 및 수입식품이 보관된 보세창고가 쓰레기장을 방불케 한다는 점을 폭로했다.
문의원은 3일 식품 및 수입식품 유통환경의 위생적 관리 및 제도마련을 위해 인천지역 보세창고의 비위생적 관리실태를 지적하고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문의원은 우리나라의 식품 유통환경이 후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단면이라며 '식품전용창고'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문의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일본, 중국에서 수입된 농,임산물, 건강기능식품, 가공식품, 기구용기포장제, 식품첨가물 등 수입규모는 120억불에 달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관리대책은 고사하고 수입식품과 각종 화물이 폐비닐과 폐기해야 할 식재료와 혼재되어 보관되고 있었으며, 식품을 보관하는 보세창고의 특허지역이 산발적으로 지정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식품을 보관하는 창고의 시설기준 및 위생기준조차 없어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식약청관계자는 “수입식품의 경우 박스 등으로 포장, 밀봉된 상태로서 식품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없으므로 무방하다”는 안일한 입장을 표명했다.
문의원은 “식약청의 이와 같은 주장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으며 무책임한처사”라고 질타하고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그 자체가 안전하고 청결하게 생산,제조되었다 하더라도 유통과정에서 적절하지 못한 상태로 방치된다면 결국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게된다”고 주장하고 “식품전용창고”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김원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