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상수도를 비롯한 지하수 이용시설과 오염원 중점관리
◇ 지하수와 관련된 집단식중독 발생시 신속한 대응 강화 등
급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과 관련 지하수에 대한 문제제기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실태조사를 통한 정확한 원인규명과 함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달 말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을 수립하여 중점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앞서 작년 12월 겨울철 식중독 관련 국무총리 지시사항에 따라 학교,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등 먹는물 지하수 다중이용시설의 수질관리실태 일제점검을 ‘07. 3~4월간 실시하였는데,이 점검결과를 검토하여 6월부터 시작될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오염실태조사” 대상 선정에 반영할 예정이다.
※ 집단급식소 총 12,151개소중 14.3%인 1734개소, 학교는 총 11,336개교중 15.5%인 1,753개교가 지하수 이용
최근 집단식중독·설사와 관련, 지하수가 원인으로 보건당국은 보고있으나 실제 지하수 노로바이러스로 분석이 의뢰된 경우는 총 4차례에 불과하였고 그 중에서도 원인병원체인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단 한 차례뿐이었다.
이 사실을 감안하여 보건당국과 긴밀한 협의를 하고 집단식중독 발생시 의심스러운 지하수는 합동조사를 함으로써 정확한 원인 규명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올해 20곳에 대한 시범조사(환경관리공단 역무대행, 50백만원)를 시작으로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전국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오염실태조사(국립환경과학원 주관, 350지점 예정)”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사결과가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분석기관이 공통으로 사용할 통일된 분석방법이 필요하므로 5월중에 기존의 먹는물 바이러스 표준시험방법과 유전자분석법을 조합한 검출방법을 국립환경과학원 지침으로 정하여 각 분석기관에 시달할 예정이다.
또한 농어촌의 노후한 마을상수도 등 소규모 수도시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년부터 ‘14년까지 총 8,686억원(국비·지방비 각 4,3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7764개소(전체의 34.2%)에 대한 시설개량(관로교체 포함)사업을 추진하고 6,473개소(전체의 28.5%)는 지방상수도로 전환 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은 상수도급수지역내에서 먹는물이나 이에 준하는 용도로의 지하수 개발시 보건위생상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오염원 밀집지역, 식중독 빈발지역 등) 제한이 가능토록 할 에정이다.
이미현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