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보건복지부는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05년) 자료 분석 결과 소아비만에 어머니의 직장 유무, TV시청 및 컴퓨터 이용시간, 아침 결식여부, 부모의 비만 여부 등이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분석: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교수팀).
직장여성 자녀는 가정주부 자녀에 비해 비만율이 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버지의 직장유무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V시청과 컴퓨터 이용시간이 길수록 소아비만의 위험이 최대 4.7배 높으며 직장여성 자녀는 기정주부 자녀에 비해 TV시청과 컴퓨터 이용시간이 1주일에 평균 5시간이 나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침 결식아동은 비 결식아동에 비해 비만율이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중 한사람이라도 비만할 경우 소아비만의 위험도가 2.2배 더 높다.
부모가 많이 먹을수록(지방과 에너지 섭취가 높을수록) 자녀들도 지방과 에너지 섭취가 밀접하게 높아지며 외식횟수가 높을수록 소아의 지방 및 에너지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 결과는 부모의 식습관과 자녀에 대한 관심 등이 소아비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소아의 비만 예방을 위해 부모의 올바른 식습관 실천과 자녀의 좋지 않은 생활습관을 교정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자녀 관리 에 시간 투자가 어려운 직장여성 자녀의 경우 상대적으로 TV시청과 컴퓨터 이용시간 아침 결식 비율 등이 모두 높고 비만율 또한 높게 나타나 맞벌이 부부 가정의 소아 비만에 보다 많은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미현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