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2일 보험개발원에서 “자동차 시가소켓에 금속성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합선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며 소켓 장착각도에 따른 전기합선 발생율이 상이하므로 연간 약 6천 건의 차량화제를 줄이기 위해서 소켓장착 각도의 설계개선이 필요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국토해양부는 자동차 이용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대국민 안전확인 차원에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화재발생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번 검증시험은 각계 전문가의 입회하에 이뤄졌으며 정상적인 자동차상태에서 이물질 투입과 과부하시 시가소켓 화재 유발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시중에서 판매중인 5개 차종의 시가소켓에 전기가 통하는 이물질을 투입한 결과 전원과 시가소켓 사이에 설치된 퓨즈가 순간적으로 끊어지며 허용된 전기용량을 초과한 경우에도 시험 차종 모두 퓨즈가 끊어져 화재발생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시가소켓에 퓨즈가 장착된 정상적인 자동차는 시가소켓에 동전 등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멀티소켓 등 과부하로 사용되더라도 퓨즈가 끊어져 전기가 차단되므로 화재 발생 우려가 없으며 시가소켓 장착각도도 화재발생과 관련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지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