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에 즈음해 조사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 국민인식도에 관한 초점집단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6월 17일부터 6월 24일 까지 65세 이상 노인, 중증노인 수발가족, 일반노인 부양가족, 청장년층 등으로 총 7개 초점집단을 구성해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본인 및 본인의 부모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고 해 본 제도의 목적 및 취지에 대해 높은 동의를 보였다.
특히 중증노인을 부양하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 감소와 수발에 대한 심리적 고충 해소를 위해 매우 필요한 제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시설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본 제도 도입으로 노인의 케어수준이 향상되고 부양가족의 사회경제적 활동이 보호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선택 시 65세 이상 노인들은 가족과의 친밀감을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수발가족들은 서비스 내용과 시설 등 서비스 질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청장년층은 경제적 부담 등 가족의 부양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 중증노인 수발가족, 일반노인 수발가족 등은 재활서비스, 45~60세 중장년층은 외출서비스 확대를 희망했고 30~44세 청장년층의 경우 맞벌이 가정의 사회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주간보호서비스를 강화할 것을 기대했다.
정명웅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