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올해 59개 사업장의 화학물질 배출량 공개를 시작으로 2010년에는 화학물질 배출량보고 대상 사업장 전체가 공개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2000년도부터 시작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는 그 동안 지역별·화학물질별·업종별로 종합적으로만 공개했으나 올해부터는 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해 사업장별 화학물질 배출량을 공개하기로 했다.
올해 공개에 참여한 59개 사업장은 대부분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협약 사업장으로 지역별·업종별로 다양한 업체로 지역별로는 울산 14개, 전남 10개, 경기 7개 사업장 순으로 참여했으며 업종별로는 화학 34개, 전자부품·통신방지7개, 코크스·석유정제 4개 사업장 순으로 참여했다.
배출량 공개 사업장의 화학물질 배출저감 성과를 살펴보면 화학물질 취급량이 ‘01년 34,963천톤에서 ’06년 51,518천톤으로 47%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배출량은 ‘01년 7,388톤에서 ’06년 4,134톤으로 44%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번 공개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기업들에 대해 배출량 정보공개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정보전달체계구축을 지원함으로써 생산과정에서 화학물질 배출이 불가피함을 지역주민에게 이해시키고 정보를 공유하는 등의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국민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아울러 기업에게는 사업장별 배출량 공개를 통해 스스로 배출량을 감축하는 등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유도하고 투명한 기업활동 이미지를 홍보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화학물질 위해정보전달체계 구축·운영을 통해 축척되는 사업장별 공개 대응경험과 배출저감 경험은 후속 공개 사업장에게 전파됨으로써 기업이 기업을 선도하는 선진화된 화학물질 관리가 도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지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