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취약계층 1만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8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 취약계층 정보화수준은 68.0%로 처음 실태조사를 실시한 2004년 45.0%에 비해 23.0% 향상됐다고 밝혔다.
취약계층의 정보격차 지수는 2004년 55.0점에서 2008년 32.0점으로 23.0점이 개선됐다. 인터넷 이용률은 24.9%에서 41.7%로 16.8%포인트, 가구당 PC 보유율은 48.7%에서 65.1%로 16.4%포인트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약계층 약 1,610만 명의 41.6%에 해당하는 약 670만명이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 80%에 도달했으며 2004년 이후 5년간 약 331만명은 정보격차가 해소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2008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취약계층의 평균 인터넷 이용률은 41.7%(전년대비 1.6%포인트 상승)이며 저소득 54.6%, 장애인 51.8%, 장노년 35.6%, 농어민 35.2%로 연령이 많은 농어촌의 인터넷 이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의 평균 가구PC 보유율은 65.1%(전년대비 1.7%포인트 상승)로 장애인 71.0%, 저소득층 63.1%, 농어민 57.4% 순으로 조사됐다.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은 일반국민의 89.7% 수준인 반면 정보역량 및 활용은 각각 45.7%, 53.1%로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보화 취약계층별 특성에 적합한 정보 활용능력 제고 등 정책추진을 강화할 방침이다. 장애인·고령층·농어민·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2012년까지 전체국민 대비 75% 수준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맞춤형 인터넷 활용교육 및 의료·건강 등 다양한 콘텐츠 개발 강화를 중점 추진하고 장애인의 인터넷 활용 촉진을 위해 웹 접근성 제고 및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정보접근 기반이 취약한 저소득 가구 및 다문화가정 등에 중고 PC 특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정보화 수준이 낮은 농어민 및 고령층의 정보화교육을 지역 특성에 맞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원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