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저작권보호센터(이사장 정홍택)가 주관하는 ‘불법저작물추적관리시스템(ICOP-Ⅱ) 시연회’가 오는 16일 개최된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불법저작물추적관리시스템(Illegal Copyrights Obstruction Program, 이하 ICOP-Ⅱ)의 주요 기능과 역할이 소개되고 이를 통한 저작권 보호 방법 및 발전 방향이 제시될 계획이다. 또한 ICOP-Ⅱ의 시연이 진행되며, 질의·답변 시간도 갖는다.
※ 불법저작물추적관리시스템(ICOP-Ⅱ) : 자동검색 및 특징점(저작물 고유 특징) 인식기술을 활용해 인터넷에서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음원, 영상 저작물에 대해 인식, 검색, 통계․저장해 삭제 조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올해 가동되었던 ICOP-Ⅰ은 음원 특징점 인식 기능을 통해 음악 저작물을 모니터링 해왔으며 내년부터는 영상 특징점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한 ICOP-Ⅱ를 통해 영상 저작물도 본격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저작권보호센터 관계자는 “ICOP-Ⅰ 가동 이후 음악관련 클럽이 폐쇄되거나 음원공유만을 하는 서비스의 종료, OSP의 자체 모니터링 강화 등 상당부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ICOP-Ⅱ는 모니터링 범위의 확대(음원→음원 및 영상), 모니터링 대상의 확대 특수유형 OSP(웹하드, P2P) → 특수유형 OSP 및 일반유형 OSP(포털, UCC)〕, 모니터링 업무의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거의 모든 웹사이트의 불법저작물 단속은 물론 특징점 인식 기능을 복합적으로 적용함해 변형 또는 왜곡된 음원, 영상 저작물에 대해서도 불법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법저작물추적관리시스템)
또 상영 예정이거나 상영중인 영화가 불법 유통되었을 경우 즉각 발견해 삭제 조치에 들어갈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불법 영상물의 온라인 유통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ICOP-Ⅱ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OSP의 트랜드를 분석해 급변하는 온라인 서비스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처하고 불법복제물 모니터링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저작권보호센터는 저작권 관련 산업이 불법복제의 심각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현재 음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ICOP이 영상 분야까지 확대되면 문화콘텐츠 산업시장이 발전하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홍선화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