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도입되는 소통망 구축계획은 공직사회 내에 잔존하는 위계적이고 부당한 업무처리 관행과 평상시에 직원들의 불만을 수렴해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가 노사갈등을 포함한 공직 내 다양한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잘 알려진 것처럼 CJ, 유한킴벌리 등 많은 민간 기업에서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소통망을 구축해 직원들과 정기적인 대화를 실시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직원들의 고충과 불만사항을 발굴하여 해소하는 시스템을 잘 정착시켜 오고 있다.
이들 사업장들은 직원과의 소통한 결과를 실제 근무여건에 반영하며 이를 직장교육, 사보 등을 통해 피드백(Feed Back)하면서 직원들과 신뢰를 쌓고 있다. 행안부는 이러한 민간사례를 공직사회에 응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아 이번 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기본형 설문항목>
분 야 |
문 항 내 용 |
문항수 | |
근무 여건 전반 |
업무여건 |
업무량 정도, 업무배분 현황, 초과근무 |
5개 |
승진인사체계 |
승진인사체계의 공정성 |
2개 | |
교육훈련 |
교육훈련 기회부여의 적정성,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
3개 | |
복리후생 |
보수 및 복지제도의 적정성, 연가 사용의 용이성 |
5개 | |
근무환경 |
사무실 근무환경, 구내식당 등 부대시설의 쾌적성 |
4개 | |
일과 가정생활 병행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
3개 | |
조직몰입·직무만족 |
자부심, 사기, 소속감 |
3개 | |
팀워크·커뮤니케이션 |
정보지식공유, 조직 내 의사소통 정도, 의견반영 정도 |
4개 | |
조직 문화 |
비전창의혁신 |
기관의 목표와 비전에 대한 이해, 창의혁신적 조직문화 |
4개 |
정직청렴 |
조직의 투명성 |
3개 |
각급기관은 수렴된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한 개선안을 마련해 시행하고 자체 해결이 어려운 제도개선 사항은 행안부에서 해결책을 모색하게 된다.
행안부 전성태 윤리복무관은 “이번 계획은 내부전산망을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없이 실행이 가능하고,직원들과 신뢰를 쌓을 수 있는 장점이 많기 때문에 기관장과 간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노력이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