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 대책은 2010년 녹색성장 7대 실천과제로 선정(녹색성장위원회)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를 공무원부터 솔선수범하기 위한 조치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 중 분야별 맞춤형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현재 3개 정부청사에는 25개 기관 1만 4천여명이 근무하며 하루 9천여명이 구내식당을 이용하면서 일일 평균 1.3톤의 음식물쓰레기를 발생시키고 있다.
정부는 청사 내 구내식당부터 ‘낭비없는 음식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 발생 경로별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잔반을 줄이기 위해서 기존에 제공되는 반찬의 가짓수는 줄이되 식사 질은 높이고, 자율배식 시행, 식판교체, 퇴식구 이원화 등의 대책을 추진한다.
또한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반가공,깔끔포장 식자재 이용, 시차조리를 실시해 잔반 뿐만 아니라 식재료쓰레기와 제공되지 않은 음식(잔식)을 함께 줄여나갈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 추진으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을 20%이상 감량할 경우, 연간 약 2.6억원의 경제적 낭비를 막고,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 발생하는 약 23톤의 CO2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동 대책의 실질적인 평가 및 피드백을 위해서 행정안전부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일일 발생량을 분기별로 취합해 분석․공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