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0년대 경기도 광릉에서 처음 발견된 광릉요강꽃은 까다로운 생육특성 때문에 옮겨 심으면 대부분 죽는 희귀종으로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덕유산국립공원, 경기도 광릉, 강원도 춘천 등에서 600여 개체 밖에 발견하지 못했다.
덕유산에서는 광릉요강꽃이 총 259개체가 발견되었는데, 공단은 불법 채취꾼과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의 접근을 막기 위해 2007년에 서식지 122,500㎡ 주변에 이중 철조망을 치고,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했다.
또한 동․식물보호단 두 명을 배치하여 서식지보호와 함께 생육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광릉요강꽃은 난초과 개불알꽃속 식물로 지름 8㎝ 가량의 꽃이 요강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름 지어졌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큰복주머니란이나 치마난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개불알꽃속 식물은 45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개불알꽃, 털개불알꽃, 노랑개불알꽃, 광릉요강꽃 등 4종이 있다. 우리나라 자생종 모두가 일부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식물이다.
공단은 2007년부터 국립공원별 멸종위기식물을 조사하고, 이를 보호‧복원하기 위한 보전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지금까지 덕유산, 소백산, 설악산, 속리산, 주왕산, 다도해해상 등 6개 국립공원에 대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덕유산에는 광릉요강꽃 외에도 솔나리, 개병풍, 산작약 등 멸종위기식물 6종이 서식하고 있다.
공단 김종달 생태복원팀장은 “국가생물자원 차원에서 볼 때 광릉요강꽃은 복원중인 지리산 반달가슴곰에 견줄만한 보전가치가 있다”며,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의 69%가 살고 있는 국립공원은 국가 생물자원보전의 핵심장소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