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일(목) 오전 7시 30분부터 팔래스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협약식에는 이만의 환경부장관과 서울 메트로의 이덕수 사장(서울시 행정2부시장 겸직),유민근 사장(SH 공사), 도급순위 상위 10위권 업체의 김중겸 사장(현대건설㈜), 정연주 사장(삼성물산㈜), 서종욱 사장(㈜대우건설), 김종인 사장(대림산업㈜), 정동화 사장(포스코건설), 김기동 사장(두산건설㈜)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해부터 정부 합동으로 추진해온 “석면관리 종합대책”에 따라 건축물 사용·철거·폐기 등 전 과정에 걸친 석면관리체계를 갖추기 위한 관련업계의 자발적 협약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석면안전관리법」시행에 앞서 업계의 사전준비 및 관련 산업·전문 인력 육성을 유도하는 등 건축물 석면관리에 대한 정부와 산업계의 공동 노력으로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 건축자재에 주로 사용된(약82%이상) 석면은 건축물 해체·제거시 작업장 주변지역에 비산되어 인근주민의 건강피해가 우려된다.
환경부 조사결과(‘08)에서도 전국 건축물 해체,제거 작업장 155곳 중 31곳(20%)에서 대기중 석면농도가 실내공기질 권고기준(0.01개/cc)을 초과함에 따라 건설업계의 자발적 석면관리 의지표명의 계기가 됐다.
이 협약에서 건설업계, 서울메트로, 건설단체 및 환경부는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을 건축물에 포함된 우리 생활주변에서 안전하게 제거·처리되어야 할 물질임을 재확인했다.
(건설업계 및 서울메트로)는 건축물 철거·보수 시 석면 사전제거, 석면 해체·제거작업 관리·감독 철저, 석면폐기물 적정처리 관리 등에 힘쓰며 (관련단체)는 석면 해체·제거 작업자 교육, 관련 친환경기술 개발·보급 등을 통하여 건설업계를 지원하고 (환경부)는 석면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개선, 우수업체·단체표창 등 지원방안 강구와 대국민 홍보를 강화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향후 세부이행지침을 마련(6월초)하고, 협약 참여 기관이 제출한 이행계획서(6월말)에 따라 실적을 평가한 후 우수기관을 선정·표창(‘11.6~7) 함으로서 석면의 안전한 관리를 독려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