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그동안 미국, 독일, 일본등 산업자동화 선진국들이 독점해온 산업용 이더넷 통신분야 세계시장에 성능 및 신뢰성을 개선한 우리나라 기술이 도전장을 내게 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허경)에 따르면 지난 주 마감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산업자동화 통신분과(SC 65C)의 투표결과, 우리기업(LS산전)이 독자개발한 산업자동화용 이더넷 통신기술(RAPIEnet) 5종이 국제표준 최종안(FDIS)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국제표준 최종안(FDIS) 단계는 기술적인 작업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편집상 검토를 거쳐 빠르면 금년중 최종 국제표준(IS)으로 출판되게 된다.
이번 IEC 표준안을 통과한 우리기술(RAPIEnet)은 기존의 산업용 이더넷 표준규격과 호환되면서도 데이터 전송의 실시간 보장, 통신에러에 대한 신뢰성을 한 차원 높인 통신기술로 1 Gbps의 전송속도를 보장하고, 기존기술에 비해 30배 빠른(10 ms) 통신에러복구 기능 등이 특징이다.
RAPIEnet은 주로 반도체, 자동차등 제조공정자동화, 원자력발전소등 전력설비자동화 및 로봇제어등 실시간통신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로써, 향후 지능형시스템 등 IT기술이 접목되는 다양한 응용분야 활용으로 국내․외 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국제표준화 추진은 지식경제부가 우리나라 R&D결과의 국제표준 선점을 통한 글로벌경쟁력 확보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R&D와 표준화 연계 혁신전략에 따른 성과로써, 그동안 LS산전, 한양대학교등 산․학 협력을 통해 진행해 지난 2008년 3월에 이미 잠정 국제표준(PAS 62573)으로 결정된 이후 기술적인 보완 과정을 거쳐 이번에 정식 국제표준안으로 최종 통과된 것이다.
※ PAS(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는 빠른 시장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검증 절차없이 임시의 국제표준으로 채택한 후 3년간의 시장동향 및 기술검토를 거쳐 정식 국제규격으로 채택하거나 또는 폐기하는 임시적 표준임
국제표준에 등록되지 않고서는 시장에 진입할 수 없는 산업자동화 분야 특수성을 고려할 때 이번 국제표준 반영 결정으로 우리나라는 산업자동화 통신기술 분야 자주 국가로써 위상도 갖추게 됐다.
향후 100억불 수준으로 추산되는 세계시장 진입을 위한 교두보 마련과 더불어 그동안 미국, 독일 및 일본 등 산업용통신기술 강국들에 의해 잠식당해온 1,500억원 규모의 국내시장도 우리기술로 대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우리나라는 이번 국제표준 반영으로 그동안 산업자동화 선진국들이 독점해온 산업용 통신분야의 기술종속을 벗어나 글로벌시장에서 독자적인 우리제품이 대등히 경쟁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RAPIEnet(Real-time Automation Protocols for Industrial Ethernet) : 공장자동화에 사용되는 각종 센서, 계측기 및 제어기기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어 통합제어를 수행하게 하는 네트워크 기술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