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 <347년만의 재회 - 뉴 하멜표류기>가 7개국 예술가 13인의 참여로 7월 23일부터 8월 22일까지 전남 강진 병영면 도룡마을 일대에서 한 달간 진행된다.
하멜표류기의 저자 헨드릭 하멜이 8년간(1656-1663) 거주한 강진 병영면에서 347년 후,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포르투갈, 영국, 에스토니아, 한국의 예술가 13인이 하멜 표류의 역사를 오늘의 농촌 마을에서 다시 호출한다. 이들은 과거와 현재의 접점으로 강진을 예술적으로 재해석하고 야외설치, 아트영상, 벽화 등의 작품을 통해 마을의 역사성을 드러내, 강진을 다시 국내외적으로 주목받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예술가들의 한 달간 작업 결과물은 도룡마을에 그대로 남아 전시
이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수산식품부가 문화로 농촌을 되살리기 위해 올해 5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추진 중인 문화이모작 사업의 일환으로 강진군에서 하멜식 돌담쌓기, 마을 스토리텔링, 만물수리센터의 사업 등과 함께 진행되고 있다.
강진군 사업의 총괄기획을 맡은 김병수 프로젝트 매니저(사회적기업 이음 대표)는 “어르신들이 대부분인 조용한 도룡마을이 먼 곳으로부터의 낯선 손님을 맞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라며 “이번 국제적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농촌에 숨겨진 예술성을 발견하는 물꼬를 트겠다.”고 밝혔다.
<하멜 표류기>의 저자인 헨드릭 하멜은 1653년 일행 36명과 함께 제주도에 표류한 이래 1656년부터 1663년까지 약 8년간 강진에서 거주했다.
1666년 조선을 탈출, 고국으로 돌아가서도 <하멜표류기>를 남기는 등 조선을 서양에 알리는 가교 역할을 했다. 이번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서 21세기의 자발적 표류자인 각국의 작가들은 다시 한번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이 만나는 소통의 장을 강진 도룡마을에 구현할 계획이다.
8월 21일, 마을잔치와 함께 마을전시 오프닝행사
이들은 하멜표류기를 함께 읽으며 도룡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탐방하고, 주민과 워크숍을 통하여 작업을 진행한 후, 그 결과물은 도룡마을에 남게 된다.
특히 마을 주민들이 하멜에게 네덜란드의 문화와 풍습의 이야기를 들었다는 기록을 따라, 매주 2회 작가들은 돌아가며 주민과 자신의 나라의 문화와 풍습을 나누는 사랑방손님 이야기 행사를 가지며 작가와 주민들과의 대화내용은 기록되어 다음날에 마을 소식지로 배포되게 된다.
8월 21일에는 마을전시 오프닝행사가 야외설치 작품 관람투어, 유학생 풍물패 공연 등이 마을 잔치와 함께 펼쳐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