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최아영 기자] 국립환경과학원은 ‘2009년 백두대간보호지역 생태계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자연환경과 생물상 정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백두대간 전체구간(684km) 중 평창군 진고개~삼척 댓재 구간(93㎞)에 대해 지형, 식생, 동․식물상 등 9개 분야에 42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수행했다.
심산계곡을 따라 병풍처럼 펼쳐진 절벽 위의 낙락장송(落落長松)처럼 한국의 자연미를 대표하고 생태관광자원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지형경관들이 확인됐으며, 보전가치가 높고 자연식생으로 천이 중인 식물군락이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다.
선자령~소황병산 구간의 고위평탄면, 소황병산~진고개 구간의 다양한 생물과 어우러진 하식애, 폭포 및 폭호, 댓재~생계령 구간의 화강암 돌개구멍, 석회암지대에 발달하는 돌리네와 카르스트용천 등은 학술․교육적으로 우수한 지형경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지역에 걸쳐 신갈나무군락(49%), 소나무군락(18%), 신갈나무와 소나무의 혼효림(22%), 박달나무군락과 아고산식물인 사스래나무, 분비나무, 만병초 등이 분포하고 식생으로 피복된 전체면적 중에서 식생보전Ⅰ등급은 33%, Ⅱ등급은 44%인 반면 식생보전Ⅳ등급은 1%에 불과해 서식지의 보전가치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11종의 멸종위기야생동․식물과 55종의 고유생물종을 비롯한 총 1,643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발견되어 백두대간보호지역이 생물다양성의 보고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인간의 이용에 노출되어 온 백두대간의 특성상 생태계교란과 개발에 따른 위협요인도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회석광산, 대면적의 풍력단지와 목장, 경작지에 의한 야생동물의 서식지 단절, 단풍잎돼지풀 등 귀화식물의 번성 등으로 인하여 서식환경이 단순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창군 도암면 송천 지류에서 영동지역에 서식하는 산천어가 채집되고, 강릉남대천 최상류지역에 금강모치, 퉁가리 등 영서지방에 서식하는 어류들이 관찰되는 등 수계의 고유성을 무시한 어류의 인위적인 이입․방류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를 막기 위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환경부는 2010년까지 구간별 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축적 및 종합분석 하여 백두대간보전 및 복원계획 수립,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