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앞으로 콘크리트 고수부지·주차장, 직강화된 하천수로 등 인공적인 구조물로 치장된 하천은 사라지고, 옆새우, 가재, 버들치 등이 아이들과 함께 어우러져 노는 생태 하천이 전국적으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전국 지방하천에 대한 생태계 훼손현황을 진단하고 복원목표 설정을 통한 체계적 생태하천복원사업 추진을 위해 「생태하천 복원사업 중장기 추진계획」을 수립,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의한 ‘물환경관리기본계획(‘06~’15)‘을 뒷받침하는 실천계획으로, 4대강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도 시급히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생태하천 복원 중장기계획」의 추진목표는 2015까지 생태계가 훼손된 지방하천 14,722㎞(전국 지방하천 26,831㎞의 55%)의 약 11%인 1,667㎞(412개 하천)를 생태적으로 건강한 하천으로 복원, 지역 주민의 생태 휴식공간으로 되돌려준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전국하천중 생태하천 비율이 45%(12,109㎞)에서 51%(13,776㎞)로 증가하게 된다.
<하천 생태계 복원 목표>
구 분 |
비율 (%) |
하천연장 (km) |
|
복원사업 (11~15) |
|
구 분 |
비율 (%) |
하천연장 (km) | ||
사 업 전 |
계 |
100 |
26,831 |
1,667㎞ (412개소), ※도랑(800곳) |
사 업 후 |
계 |
100 |
26,831 | ||
훼손하천 |
55 |
14,722 |
훼손하천 |
49 |
13,055 | |||||
생태하천 |
45 |
12,109 |
생태하천 |
51 |
13,776 |
환경부는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이라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기본방향이 왜곡되지 않고, 사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행화, 식생호안 조성, 여울․소․습지 등의 수질정화 기능을 강화(412개소, 1,667km)할 예정이다. 또 오염된 마을앞 도랑․실개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하천별로 깃대종을 선정, 서식지를 복원해 생태관광 자원으로 브랜드화 할 예정으로 올 7월 시범사업 하천 3개소(예산 화산천, 전주 삼천, 영덕 송천)를 선정,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기업과 지자체,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 지역의 하천을 되살리는 ‘1사1하천 운동’을 전국적 운동으로 확산하고 환경부와 4대강추진본부가 역할분담, 4대강 사업구간에 출현하는 12종을 2012년까지 모두 증식․복원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생태하천 복원사업 추진 지자체에 대한 설계검토를 강화하고, 지방환경청으로 하여금 정기(수시)적으로 현장점검을 수행토록해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기본원칙과 다른 방향으로 추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사업 추진 시 지역주민, 관계 전문가 등이 적극 참여하도록 하고「수생태복원사업단」을 구성해 2007년 11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총 840억원(정부 585억원, 민간 256억원)을 투자하는 수생태계 복원 기술개발 및 확대·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생태하천 복원 중장기계획 추진으로 수생태계 회복과 수질개선은 물론 도시온도 저감, 쾌적한 녹색 생활공간 제공 등의 효과가 발생하고 사업 시행에 따라 5만명 이상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주변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