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환경부는 수도권 도심도로에서 ‘공회전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행시간의 1/4이 공회전시간으로 나타나 자동차 공회전이 심각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자동차 10년타기시민연합’에 의뢰해 지난 5월 13일부터 9월 29일까지 조사했으며, 수도권 도심도로 24개구간(1구간 평균 30km)을 실제로 운행했다.
조사 결과, 30km구간을 주행하는데 평균 1시간24분이 소요됐으며, 그 중 공회전 시간은 평균 22분으로서 주행시간의 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 시간(1시간24분)중에 공회전을 평균 30회했고, 1회당 평균 46초를 공회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승용차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부착하고 운행해 본 결과, 평균연비가 장치 부착 전․후 8.29 Km/l에서 9.50 Km/l로 약 14.6% 향상됐다.
운전자 1,9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보조금 지급 시 공회전제한장치를 부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공회전을 하는 이유로는 그냥 불편해서 31.1%, 수시로 시동을 끄면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27.4%, 중단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24.4%, 연료절약 효과를 못 느끼기 때문에 17.1% 등으로 조사됐다.
공회전 방지를 위해서는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 41%, 캠페인40.5%, 공회전 제한구역 확대 13.3%, 공회전 규제․단속 5.1% 순으로 필요하다고 조사됐다.
환경부는 자동차의 공회전 방지 등 친환경운전문화 확산을 위해 올해 말까지 친환경운전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각종 인터넷 및 언론매체를 통해 집중 홍보를 실시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친환경운전 안내장치(EMS, 공회전제한 장치 등)에 대한 보조금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예산당국과 적극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