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최혜연 기자] 환경부에서는 서울특별시와 6개광역시의 시민 3천명을 대상으로 10월 18일부터 29일까지 12일간 빛공해 시민인식 전화설문조사와 빛공해 노출이 우려되는 서울시 강남, 대학로, 명동 등 번화가 지역의 시민 100명을 대상으로 필드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소비자시민모임과 자원순환사회연대가 주관하고, 환경부가 후원해 12일(금) 오후3시 국회의사당 귀빈식당에서 개최된「과도한 인공조명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표됐다.
설문내용은 총7문항으로 ① 과도한 인공조명이 환경오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 ② 과도한 인공조명사용 관리를 위해 법률 등 새로운 제도가 필요한지 여부, ③ 우선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인공조명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했다.
또한, ④ 야간 인공조명이 너무 밝아서 불편하거나 피해를 느낀적이 있는지 여부, ⑤ 불편함이나 피해를 느낀 사유 ⑥ 화려한 조명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⑦ 상점 간판 인공조명의 관리방안에 관하여 조사를 실시했다.
‘과도한 인공조명이 환경오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시민은 64.1%, ‘이를 관리하기 위한 법률 등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64.9%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인공조명은 ‘모텔 등에 사용되는 건축물 치장을 위한 조명’이 40.4%, ‘간판, 전광판 등 상가광고물조명’이 33.2% 순으로 나타났다.
야간 인공조명이 너무 밝아서 불편하거나 피해를 느낀적이 있는지에 대한 설문 결과 22.6%가 있다고 응답했으나, 명동, 대학로, 강남 등 번화가에서는 과다한 인공조명으로 인해 불편하다는 의견이 63%로 조사돼 필요이상으로 조명이 사용돼 피해를 미치는 지역에 대한 우선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불편함이나 피해를 느낀 사유로는 ‘눈이 부시고, 무질서하게 설치된 것에 대한 불쾌감’이 44.6%로 가장 높았고, ‘필요없는 에너지 낭비’가 17.7%, ‘수면방해, 생체리듬 변화에 따른 건강문제 염려’가 12%로 나타났다.
화려한 조명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질서하게 설치돼 있어서 국가이미지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47.6%로 대부분이었고, ‘무절제하게 설치되어있어 중진국적 국가이미지를 나타낸다’는 의견도 22.1%나 됐다.
상가건축물이 몰려있어 과도한 빛을 내는 상점 간판의 인공조명 관리를 위해서는 ‘국가에서 관리방안을 마련해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48.4%로 주를 이루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과도한 인공조명 관리를 위한 법률 등의 관리제도 마련을 추진해 시민들의 건강피해와 심리적 불쾌감 등을 최소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좋은빛정보센터 홈페이지(www.right-light.or.kr)을 통해 정부정책과 관련정보를 공유하고, 환경과 건강을 배려하는 조명문화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민의 의견을 수렴, 국내 실정에 맞는 관리방안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