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백현순 기자]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허 경)은 25일 가정요양용 침대의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KS 표준을 전면 개정했다고 밝혔다. 가정요양용 침대(전동 및 수동)가 측면난간에서의 상해 또는 사망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복지용구 급여대상으로 지정됨에 따라 보급이 확대되면서 침대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요구가 제기돼 왔다.
급여대상 복지용구 중에서 미끄럼방지용품, 자세변환용구, 가정요양용 침대 순으로 사용빈도가 높고, 전체 복지용구의 총급여 비용 914억원 중 침대가 389억원(42.6%)으로 가장 큰 비중을 자치하고 있어 사용빈도에서나 비용면에서 중요한 품목이다.
가정요양용 침대는 사용자가 심신 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지장이 있는 고령자가 대부분이며, 전문 의료인이 같이 있지 않는 일반 가정에서 비전문 의료인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사고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예방을 위해 안전성이 우선적으로 확보돼야 한다.
금번 개정에서는 침대 측면난간의 사이 간격이나 틈새에 머리나 가슴이 끼지 않도록 높이와 간격을 엄격히 규정하고, 시험방법은 최근 강화된 국제표준에 따르도록 했다. 한편, 침대에 경고문을 부착하도록 해 사용자의 안전한 사용과 주의를 요하도록 하고 있다.
기술표준원은 금번 개정된 KS 표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20여 침대 생산업체 또는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해 새로운 KS 표준에 맞춘 침대를 생산하거나 수입하는데 차질이 없도록 적극 지원에 나서고 있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고령자나 장애인이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고령자나 장애인 복지용구에 대한 표준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고령자나 장애인 복지용구에 대한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위원회가 새로 설치되는 등 복지용구 표준화의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부각되고 있어, 우리나라와 신체적 구조가 유사한 일본, 중국 등 주변국과 관련제품에 대한 표준화 협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