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태균 기자] 환경부와 행정안전부는 무선정보인식장치(이하 RFID)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범사업을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 10개 지자체에서 확대 실시한다고 밝혔다.
‘RFID를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RFID칩이 붙어있는 용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면 수거자 또는 수거장비가 칩에 있는 배출자와 배출량을 확인해 버린 양만큼 요금을 부과하는 종량제 방식이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방식에는 RFID방식, 납부칩 방식, 봉투 방식이 있으며, 이 중 RFID를 활용한 종량제는 무엇보다 배출자 별로 버린 양(무게)을 계량해서 정확한 요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감량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RFID방식은 감량효과 외에도 정확한 통계관리 및 누진제 도입이 용이하고 봉투 방식 등에 비해 도시 미관을 개선시켜 준다는 장점이 있는 선진화된 음식물쓰레기 통합 관리 방법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에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부착하는 계근장치, 개별계량장치, RFID칩 등의 일부 물품을 지원하며, 이 사업으로 공동주택 총 40만 세대와 2만여개의 음식점에 RFID 기반의 종량제가 시행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