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수지 기자] 교육과학기술부의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플렉서블 이차전지 핵심 소재의 원천기술이 국내기업에 이전돼 상용화 된다.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차세대전지기술 융합연구단의 조재필, 박수진, 송현곤 교수 연구팀은 '고안정성 양극활물질 및 고용량/저가 음극활물질 대량합성 기술'을 울산에 위치한 세진그룹에 이전하기로 하고 7일 오전 UNIST 대학본부에서 협약식을 개최키로 했다.
이 기술에 대한 가치는 기술료, 발전기금 등 총 54억원 규모로서 국내대학으로는 최대 규모의 수입이 될 전망이다. 세진그룹은 울산에 위치한 자동차, 조선산업의 중견기업으로써 차세대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UNIST와 기술이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조재필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 고온에서도 안정하고 수명열화가 없는 양극소재를 저가로 대량 합성 할 수 있는 기술과 현재 사용되는 음극소재인 ▲ 흑연대비 용량이 3배 증가 되면서도 흑연과 동등한 특성을 나타내는 실리콘 물질의 대량 합성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이전 핵심 기술 중의 하나인 고용량 실리콘 물질은 현재 일본에서 부분적으로 생산해 판매되고 있으나 kg당 150달러에 육박해 흑연대비 15배나 비싸고 합성공정이 어려워 대량 양산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난제를 극복해 조재필 교수 연구팀에서는 흑연 대비 용량을 3배 이상, 가격도 kg당 20달러이하로 대량합성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UNIST에 설치된 차세대전지기술 융합연구단은 교과부의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나노기반 정보․에너지 사업본부에 속한 3개 융합연구단중 하나로서 이번에 개발돼 이전하는 기술은 융합원천기술로서 정부와 연구자의 노력으로 이루어낸 결실이다
UNIST 기술사업화센터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저렴하고 높은 안정성을 가진 고용량 소재를 국내기업에서 생산가능하게 돼 막대한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개발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2차전지 소재기술을 세계무대에서 선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 시장 규모는 지난해 100억달러에서 2015년도 200억달러 이상으로 급성장하고 이중 전극소재 시장은 40억달러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양극재는 현재 100% 일본에서 수입을 하고 있어 수입대체효과가 500억원을 넘어 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