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는 11일 정부중앙청사에서 개최된 2011년도 제 10차 경제 정책조정 회의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 및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전략은 2009년 12월 3개 부처가 공동 수립한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2014년 세계 시장규모가 6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IT 분야의 새바람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앞서 나갈 수 있도록 3개 부처가 계속해서 힘을 모을 것을 다짐했다.
최근 국내에서도 이동통신사, 인터넷 포털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의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출시되는 등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의 시장 선점, 취약한 국내 수요기반, 법제도적 여건 미비, 보안 및 안정성에 대한 우려, 기반기술 부족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전략은 초기 단계의 국내 시장을 견인하는 한편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우드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 완화와 함께 안심하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및 지침을 정비할 방침이다.
또한 정부 및 공공기관의 선도적 클라우드 도입과 함께 민간분야에서도 중소기업 대상 클라우드 사용료 보조 등 다양한 수요 확대 정책을 추진해 시장을 창출하고 관련 기술의 육성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튼튼한 산업기반 조성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술 개발, 벤처캐피탈 등을 통한 투자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하고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육성․유치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IT 허브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행안부‧지경부‧방통위는 “우리나라가 5년 내 글로벌 클라우드 강국이 될 수 있도록 향후에도 계속 한마음으로 범정부 차원의 정책을 함께 마련하고 추진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