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도은경 기자] 소방방재청은 우리나라가 장마전선의 영향권에 접어든 가운데 여름철 집중호우 시 높은 습도와 침수 등으로 인한 감전사고가 증가할 것이 우려됨에 따라 ‘여름철 우기 감전사고 주의보’를 발령했다.
2007부터 2009년까지 최근 3년간 전기재해통계를 종합 분석한 결과, 감전사고는 6월부터 점차 증가해 강수량이 많고 높은 기온으로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7~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년 여름철(6~8월) 기상전망에 따르면, 6월후반부터 7월후반까지는 평년보다 강수량이 많고, 8월에는 대기불안정에 따른 국지성 호우 등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예상된다고 기상청은 예보했다.
여름철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되는 시점에 맞춰 감전사고 주의보를 발령해 관계부처, 지자체 및 유관기관 등에서 우기철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예방 및 홍보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3년간 감전사고로 총 1,79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중 28%인 496명(사망 72, 부상 424)이 7~8월에, 인구와 공장 등 제조시설이 집중돼 있는 수도권(경기, 서울)에서 집중 발생했다.
사고 원인은 전기·보수공사(31%), 가전운전(14%), 기계설비보수․공사(14%), 발생장소는 공장·작업장(31%), 주거시설(24%), 송배전선로(10%), 공사장(7%) 순으로 분석돼 공장․작업장 종사자 등의 작업 전 안전교육 실시와 대국민 사고예방 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감전사고 주의보 발령에 맞추어 지자체와 소방관서, 전기안전공사, 경찰청 등과 공조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국민 스스로도 여름철 우기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국민생활주변과 작업장 등에서 안전행동요령을 준수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