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보건복지부는 암정복계획 중간평가 결과 당초 목표를 초과 달성함에 따라 국가암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2015년 정책목표를 암생존율 67%(당초 목표 54%)로 상향한다. 이로써 암사망율 인구 10만명당 88명(당초 94명)으로 조정하고 이를 위해 암예방인지율과 암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항암신약개발을 적극 지원하는 등 매년 추진 상황을 점검, 평가할 계획이다.
복지부와 국립암센터는 2006년 수립된 제2기 계획에 대한 중간평가 결과 지속적 암관리정책의 추진,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정책목표인 암생존율(%)은 2005년 50.8에서 2008년 59.5로 17.1% 상승했고, 암사망률(인구 10만명당)은 112.2에서 103.8로 7.5% 낮아졌다.
또한 전략지표 중 성인남자 흡연율(%)은 51.6에서 46.9로 9.1% 줄었으며, 전 국민 암검진수검률(%)은 40.3에서 53.3으로 32.3% 늘었고, 암환자 의료비수혜자는 28천명에서 54천명으로 92.9% 늘어났다.
이에 복지부에서는 중간평가 결과를 반영해 목표를 상향조정하고 각종 대책을 강화하는 등 제2기 계획을 수정했다. 우선, 정책목표를 암 생존율은 ‘17% 증가’에서 ‘33% 증가’로 해 2015년 암생존율을 67%로 상향조정하고, 암 사망률은 ‘19% 감소’에서 ‘21% 감소’로 해 사망률을 인구 10만당 88명으로 정했다.
특히 2015년까지 암 관리대책을 강화하기 위해 담배 접근성 감소를 위한 제도적․경제적 규제를 강화했다. 이에 성인남자 흡연율을 2015년까지 35% 이하로 감소시키고, 대상자별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해 성인여자 흡연율은 6.5% 이하로 줄일 계획이다.
또한 보건소 및 지역암센터간 검진 인프라 등을 활용해 국가암검진 수검률을 55%까지 향상시키고 지역별, 소득별 검진율 차이를 줄일 방침이다. 특히 글로벌 항암신약개발을 위해 국가 주도의 재원 투자와 임상시험 실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암정보 제공을 통해 암예방 인지율을 60%까지 높이고, 암환자에 대한 암발생, 치료, 사망에 이르는 일련의 암정보를 통합해 국가암감시체계를 구축, 관리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국가암관리위원회에서 위의 내용을 담은 ‘암정복 2015-제2기 암정복10개년계획’ 수정안을 18일부터 22일까지 서면심의․의결했으며, 앞으로 제2기 계획 수정안이 충실히 수행될 수 있도록 분야별 추진상황을 매년 점검 평가하고 미진한 부분은 보완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